스즈키의 오프로드 아이덴티티를 담은 경량 오프로드 바이크 DR-Z 125L이 출시했다. 부담 없는 차체 크기와 성능으로 폭넓은 라이더가 즐길 수 있는 구성이다. 거기에 합리적인 가격이 더해져 보다 쉽게 오프로드 라이딩을 도전할 수 있다.
스즈키는 과거부터 오프로드 레이스에 도전하고 뛰어난기량을 선보여온 브랜드다. 죽음의 랠리라 불리는 다카르랠리에 여러 차례 참전한 바 있으며 현재는 자사의 경량오프로드 머신인 RM-Z450을 통해 슈퍼크로스와 모토크로스 레이스에서 좋은 성적을 발휘하고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오프로드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으며 어린아이가 주행할 수 있는 소형 오프로드 모델인 DR-Z50까지 갖추고 있다. 오랜 기간 쌓은 오프로드 데이터를 기함급 듀얼퍼퍼스 모델인 V-스트롬을 출시하며 듀얼퍼퍼스 시장에서 꾸준한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
스로틀을 과하게 열면 리어 휠이 미끄러지지 않고 윌리가 된다. 변속이 매끄럽기 때문에 5단 기어까지 빠르게 높이며 나아갈 수 있다.
노하우를 활용한 완성
DR-Z 125L은 본격적인 오프로드 머신과 흡사한 디자인이다. 브랜드 컬러인 챔피언 옐로우를 사용해 자사의 플래그십 모델과 비슷한 분위기를 내며 오프로드 주행을 고려한 파츠들이 눈에 띈다. 전후 19인치, 16인치 스포크 휠을 탑재하고 스키드 플레이트, 경량 페어링, 평평한 시트 등을 갖추고 있다. 고강성의 경량화 설계 프레임과 스윙암, 링크 타입 리어 쇽, 오프로드 타이어 등에서 오프로드 머신을 오랫동안 설계해온 브랜드의 노하우가 느껴진다. 그런데 DR-Z 125L을 자세히 보면 경량 오프로드 머신에 비해 전체적인 사이즈가 작다.
(좌)프런트에 싱글디스크와 토키코 캘리퍼가 제동을 책임진다/(우)프런트 업 펜더는 길고 넓어서 흙이 라이더에게 튀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준다
휠 사이즈가 전륜 19인치에 후륜 16인치로 작은 편이고 서스펜션의 스트로크가 짧아 시트고가 805mm로 부담스럽지 않다. 게다가 공랭124cc 4행정 단기통 엔진을 탑재해 부드러운 엔진 출력을 발휘하여 초보자들도 다루기 쉽다. 차량중량은 89kg으로 매우 가벼운 편이라서 험로에 들어서거나 전도하더라도 쉽게 주파하고 일어날 수 있다. DR-Z 125L은 스즈키의 오프로드 데이터를 노하우로 꼭 필요한 부분을 갖추고 덜어낼 수 있는 부분은 과감하게 줄인 가성비, 만만함, 쉬운 오프로드 모델이다.
풀사이즈 엔듀로와 비교하면 작게 느껴지지만 오프로드 머신을 탄다는 느낌을 잘 살렸다.
오프로드 DNA를 담다
바이크를 직접 마주하는 순간 콤팩트한 사이즈가 귀엽게 느껴진다. 스즈키의 브랜드 대표 컬러를 사용한 페어링은 전체적인 사이즈에 맞게 아담한데 넓고 길게 뻗은 업 펜더와 간결한 사이드 페어링은 오프로드 머신의 분위기를 적극적으로 어필한다. 지금까지 경험한 경량 오프로드 머신과 다르게 양다리가 쉽게 바닥에 닿고 가벼운 무게 덕분에 부담이 없다. 오프로드 전용 모델이기 때문에 각종 등화류나 전자장치가 없으며 심지어 셀모터가 없기 때문에 킥 스타터로 시동을 걸어야 한다. 124cc 엔진은 킥스타터로 쉽게 깨울 수 있다. 카뷰레터 엔진이라 냉간 시에는 아이들링이 다소 불안한 면이 있는데 조금만 주행하고 나면 안정을 찾는다. 오동통통 소리를 내는 배기음은 콤팩트한 차체와 잘 어우러지며 rpm을 높여도 부드러운 음색을 유지한다. 귀여운 생김새만큼이나 잘잘한 진동도 매력적이다.
(좌)공랭 124cc SOHC 단기통 엔진은 부드러운 출력을 발휘하여 다루기 쉽다/(우)리어에는 드럼 방식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사용했다
(좌)주행 중 다리가 닿는 위치에 매니폴드 가드가 부착되어 있고 킥스타터가 마련되어 있다/(우)링크 타입의 리어 쇽 업소버는 프리로드 조절이 가능하다
빠르고 경쾌한 재미
사실 DR-Z 125L에 처음 앉았을 때는 큰 기대를 하지 않았다. 차체 사이즈가 작아서 정확한 자세를 취하기 어렵고 공랭 124cc 엔진은 90kg에 육박한 성인 남성을 이끌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출발한 지얼마 되지 않아서 착각이라는 걸 깨달았다. 물론 DR-Z 125L은 성인 남성이 풀사이즈 엔듀로 머신을 타듯 정확한 자세를 취하기 어렵다. 하지만 가벼운 차체와 출력을 고려하고 살짝 여유를 가진다면 충분히 본격적인 오프로드 주행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차체 사이즈는 작지만 핸들포지션과 풋패그의 위치를 웬만한 성인까지 즐길 수 있도록 설계했기 때문이다. 스로틀을 열었을 때의 경쾌함에 선뜻 놀랐다. 풀사이즈 엔듀로와 비교하면 19인치, 16인치 휠 조합이 작게 느껴지지만 오프로드 머신을 탄다는 느낌을 잘 살렸다. 공랭124cc 엔진은 부드럽고 만만한 출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과감한 시도가 가능하다. 신장 180cm의 라이더는 시트포지션이 리어에 치중되어 스로틀을 과하게 열면 리어 휠이 미끄러지지 않고 윌리가 된다.
변속이 매끄럽기 때문에 5단 기어까지 빠르게 높이며 나아갈 수 있다. 리어에는 드럼식 브레이크를 탑재했는데 차량이 가벼운 덕에 제동력이나 작동감이 나쁘지 않다. 양다리가 바닥에 닿고 가볍다 보니 초행길도 용감하게 도전할 수 있다. 짧은 휠베이스 덕분에 싱글길에서는 완전히 작은 선회 라인을 그리며 즐길 수 있다. 5단 미션을 갖췄기 때문에 꾸준히 변속하며 탄력을 살리면 70km/h 이상의 속도로 즐길 수 있다. 어쩌면 비좁고 급격한 코너가 연속되는 싱글길에서는 ‘본격적인 엔듀로 바이크와 겨뤄도 비등비등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까지 든다. 서스펜션은 다소 부드러운 세팅인데 잔잔한 노면 지날 때 대부분 무난하게 처리해내며 각종 장애물을 무리 없이 주파한다. 최저지상고는 290mm로 대부분의 요철을 여유롭게 넘어간다. 엔진 하부가 요철에 닿더라도 기본으로 장착된 스키드 플레이트가 직접 충격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상을 넘는 잠재력
DR-Z는 기대 이상의 능력을 보여줬다. 성인이 탔을 때 차체가 작다 보니 조금만 업힐을 만나도 프런트가 떠오를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끈기 있게 올라간다. 출력이 약하다고 생각하면 한없이 부족하지만 바이크가 가볍다는 강점을 살리면 탄력 있게 업힐을 오르고 코스를 주파한다. 또한 작은 차체는 라이더가 체중이동을 했을 때 하중이 집중된다는 효과도 있다. 업힐 중 요철을 뛰어넘을 때 클러치를 사용하면 프런트를 들어올리기 쉽고 가늘어 보이는 프런트 포크도 적절한 댐핑을 유지한다. DR-Z 125L은 약점만 보면 한없이 약하고 강점을 살리면 잠재력이 엄청나다.
(좌)사이드 페어링은 브랜드 컬러를 사용하여 고급스럽고 DR-Z 로고가 삽입되어 있다/(우)일자 형태의 평평한 시트는 다소 미끄럽지만 자유롭게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니신의 프런트 브레이크는 부드럽게 사용하기 좋으나 성인 남성이 주행할 때 다소 부족한 제동성능을 낸다
기본기를 다지기에 충분한 구성
DR-Z 125L을 타고 하루 종일 신나게 달렸다. 첫인상은 인상적이지 않았지만 경험 후에 계속 여운이 남는 모델이다. 많은 라이더들이 오프로드를 경험하고 싶지만 그에 맞는 장비를 구매해야 하고, 다루기 어렵다는 말과 관리가 까다롭다는 이야기 등 때문에 선뜻 도전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스즈키가 선보인 DR-Z 125L은 가성비 측면으로 본다면 으뜸이다. 만만한 출력, 다루기 편한 사이즈, 보증된 내구성, 저렴한 가격 등이 충분한 이유가 된다. 타보기 전까지는 ‘저걸로 뭘 할 수 있을까?’ 싶었는데 지금은 ‘이것도 해보고 싶고, 저것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나라의 대부분이 흙과 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니 DR-Z 125L로 똑똑하게 오프로드를 입문해보는 건 어떨까?
가장 똑똑하게 오프로드를 입문하는 방법
SUZUKI DR-Z 125L
스즈키는 과거부터 오프로드 레이스에 도전하고 뛰어난기량을 선보여온 브랜드다. 죽음의 랠리라 불리는 다카르랠리에 여러 차례 참전한 바 있으며 현재는 자사의 경량오프로드 머신인 RM-Z450을 통해 슈퍼크로스와 모토크로스 레이스에서 좋은 성적을 발휘하고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오프로드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으며 어린아이가 주행할 수 있는 소형 오프로드 모델인 DR-Z50까지 갖추고 있다. 오랜 기간 쌓은 오프로드 데이터를 기함급 듀얼퍼퍼스 모델인 V-스트롬을 출시하며 듀얼퍼퍼스 시장에서 꾸준한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
노하우를 활용한 완성
DR-Z 125L은 본격적인 오프로드 머신과 흡사한 디자인이다. 브랜드 컬러인 챔피언 옐로우를 사용해 자사의 플래그십 모델과 비슷한 분위기를 내며 오프로드 주행을 고려한 파츠들이 눈에 띈다. 전후 19인치, 16인치 스포크 휠을 탑재하고 스키드 플레이트, 경량 페어링, 평평한 시트 등을 갖추고 있다. 고강성의 경량화 설계 프레임과 스윙암, 링크 타입 리어 쇽, 오프로드 타이어 등에서 오프로드 머신을 오랫동안 설계해온 브랜드의 노하우가 느껴진다. 그런데 DR-Z 125L을 자세히 보면 경량 오프로드 머신에 비해 전체적인 사이즈가 작다.
휠 사이즈가 전륜 19인치에 후륜 16인치로 작은 편이고 서스펜션의 스트로크가 짧아 시트고가 805mm로 부담스럽지 않다. 게다가 공랭124cc 4행정 단기통 엔진을 탑재해 부드러운 엔진 출력을 발휘하여 초보자들도 다루기 쉽다. 차량중량은 89kg으로 매우 가벼운 편이라서 험로에 들어서거나 전도하더라도 쉽게 주파하고 일어날 수 있다. DR-Z 125L은 스즈키의 오프로드 데이터를 노하우로 꼭 필요한 부분을 갖추고 덜어낼 수 있는 부분은 과감하게 줄인 가성비, 만만함, 쉬운 오프로드 모델이다.
오프로드 DNA를 담다
바이크를 직접 마주하는 순간 콤팩트한 사이즈가 귀엽게 느껴진다. 스즈키의 브랜드 대표 컬러를 사용한 페어링은 전체적인 사이즈에 맞게 아담한데 넓고 길게 뻗은 업 펜더와 간결한 사이드 페어링은 오프로드 머신의 분위기를 적극적으로 어필한다. 지금까지 경험한 경량 오프로드 머신과 다르게 양다리가 쉽게 바닥에 닿고 가벼운 무게 덕분에 부담이 없다. 오프로드 전용 모델이기 때문에 각종 등화류나 전자장치가 없으며 심지어 셀모터가 없기 때문에 킥 스타터로 시동을 걸어야 한다. 124cc 엔진은 킥스타터로 쉽게 깨울 수 있다. 카뷰레터 엔진이라 냉간 시에는 아이들링이 다소 불안한 면이 있는데 조금만 주행하고 나면 안정을 찾는다. 오동통통 소리를 내는 배기음은 콤팩트한 차체와 잘 어우러지며 rpm을 높여도 부드러운 음색을 유지한다. 귀여운 생김새만큼이나 잘잘한 진동도 매력적이다.
빠르고 경쾌한 재미
사실 DR-Z 125L에 처음 앉았을 때는 큰 기대를 하지 않았다. 차체 사이즈가 작아서 정확한 자세를 취하기 어렵고 공랭 124cc 엔진은 90kg에 육박한 성인 남성을 이끌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출발한 지얼마 되지 않아서 착각이라는 걸 깨달았다. 물론 DR-Z 125L은 성인 남성이 풀사이즈 엔듀로 머신을 타듯 정확한 자세를 취하기 어렵다. 하지만 가벼운 차체와 출력을 고려하고 살짝 여유를 가진다면 충분히 본격적인 오프로드 주행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차체 사이즈는 작지만 핸들포지션과 풋패그의 위치를 웬만한 성인까지 즐길 수 있도록 설계했기 때문이다. 스로틀을 열었을 때의 경쾌함에 선뜻 놀랐다. 풀사이즈 엔듀로와 비교하면 19인치, 16인치 휠 조합이 작게 느껴지지만 오프로드 머신을 탄다는 느낌을 잘 살렸다. 공랭124cc 엔진은 부드럽고 만만한 출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과감한 시도가 가능하다. 신장 180cm의 라이더는 시트포지션이 리어에 치중되어 스로틀을 과하게 열면 리어 휠이 미끄러지지 않고 윌리가 된다.
변속이 매끄럽기 때문에 5단 기어까지 빠르게 높이며 나아갈 수 있다. 리어에는 드럼식 브레이크를 탑재했는데 차량이 가벼운 덕에 제동력이나 작동감이 나쁘지 않다. 양다리가 바닥에 닿고 가볍다 보니 초행길도 용감하게 도전할 수 있다. 짧은 휠베이스 덕분에 싱글길에서는 완전히 작은 선회 라인을 그리며 즐길 수 있다. 5단 미션을 갖췄기 때문에 꾸준히 변속하며 탄력을 살리면 70km/h 이상의 속도로 즐길 수 있다. 어쩌면 비좁고 급격한 코너가 연속되는 싱글길에서는 ‘본격적인 엔듀로 바이크와 겨뤄도 비등비등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까지 든다. 서스펜션은 다소 부드러운 세팅인데 잔잔한 노면 지날 때 대부분 무난하게 처리해내며 각종 장애물을 무리 없이 주파한다. 최저지상고는 290mm로 대부분의 요철을 여유롭게 넘어간다. 엔진 하부가 요철에 닿더라도 기본으로 장착된 스키드 플레이트가 직접 충격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상을 넘는 잠재력
DR-Z는 기대 이상의 능력을 보여줬다. 성인이 탔을 때 차체가 작다 보니 조금만 업힐을 만나도 프런트가 떠오를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끈기 있게 올라간다. 출력이 약하다고 생각하면 한없이 부족하지만 바이크가 가볍다는 강점을 살리면 탄력 있게 업힐을 오르고 코스를 주파한다. 또한 작은 차체는 라이더가 체중이동을 했을 때 하중이 집중된다는 효과도 있다. 업힐 중 요철을 뛰어넘을 때 클러치를 사용하면 프런트를 들어올리기 쉽고 가늘어 보이는 프런트 포크도 적절한 댐핑을 유지한다. DR-Z 125L은 약점만 보면 한없이 약하고 강점을 살리면 잠재력이 엄청나다.
기본기를 다지기에 충분한 구성
DR-Z 125L을 타고 하루 종일 신나게 달렸다. 첫인상은 인상적이지 않았지만 경험 후에 계속 여운이 남는 모델이다. 많은 라이더들이 오프로드를 경험하고 싶지만 그에 맞는 장비를 구매해야 하고, 다루기 어렵다는 말과 관리가 까다롭다는 이야기 등 때문에 선뜻 도전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스즈키가 선보인 DR-Z 125L은 가성비 측면으로 본다면 으뜸이다. 만만한 출력, 다루기 편한 사이즈, 보증된 내구성, 저렴한 가격 등이 충분한 이유가 된다. 타보기 전까지는 ‘저걸로 뭘 할 수 있을까?’ 싶었는데 지금은 ‘이것도 해보고 싶고, 저것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나라의 대부분이 흙과 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니 DR-Z 125L로 똑똑하게 오프로드를 입문해보는 건 어떨까?
SUZUKI DR-Z 125L
엔진형식 공랭 4스트로크 단기통 SOHC 보어×스트로크 57 × 48.8(mm) 배기량 124cc 압축비 9.5 : 1 최고출력 미발표 최대토크 미발표 시동방식 킥 스타터 연료공급방식 카뷰레터 연료탱크용량 4.8ℓ 변속기 5단 리턴 서스펜션 (F)텔레스코픽 (R)링크 쇽 업소버 타이어사이즈 (F)70/100 ZR19 (R)90/100 ZR16 브레이크 (F)싱글디스크 (R)드럼 전장×전폭×전고 1,885×770×1,100 휠베이스 1,270mm 시트높이 805mm 건조중량 89kg 판매가격 499만 원
글 윤연수
사진 양현용
취재협조 스즈키코리아 www.suzuki.kr